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갤럭시 카메라로 찍으면 부캐 생성? AR이모지 이 영상 하나로 종결 선언!

스마트폰 클래쓰

by 막내딸클라쓰 2023. 9. 29. 08:21

본문

안녕하세요. 
여러분 혹시 부캐를 가지고 계신가요? 
오늘 기능은 이전 영상에서 예고 드렸었던 

AR이모지, 부캐 만드는 법입니다. 

부캐란 '부캐릭터'의 줄임말, '두 번째 캐릭터' 혹은 '본캐 외의 캐릭터'라는 뜻


AR이모지란?

아이폰에는 미모지가 있고, 갤럭시에는 AR이모지가 있는데요. 두개 다 비슷해요. 아이폰의 경우 내가 원하는 캐릭터를 직접 만드는 것이고 갤럭시의 경우 셀카촬영을 통해 내 얼굴을 재료로 닮은 내 부캐를 만드는 게 큰 차이라고 볼 수 있어요.

미모지(Memoji)는 '나만의 이모지'라는 뜻이에요. 그럼 AR 이모지는 뭘까요? 'augmented reality' 로 즉 증강현실의 이모지(그림문자)라는 뜻인데요. 

사실 이 카카오톡 이모티콘도 이모지에요. 국내에서 이모지와 이모티콘을 크게 구분하진 않아요.  이모티콘은 이렇게  문자로 조합된 게 이모티콘이고, 그 외 이미지 형태는 이모지인거죠.

아무튼 우리가 궁금한건 갤럭시의 AR이모지 잖아요. 이제 가장 재밌는 실전으로 들어가 보죠. ar이모지는 어디서 만들까요? 들어가는 방법은 2가지가 있어요. 검색하거나 또는 카메라앱을 열어줍니다. 검색하신다면 '에이알이모지' or 'AR이모지'라고 입력하시면 바로 찾을 수 있어요. 카메라 앱에서는 더보기를 누르고 상단 'AR존'을 눌러주세요.

 

이런 화면이 보일텐데요. 이게 다 이모지와 관련 메뉴에요.  설치가 안되어있다녀, ↓ 이렇게 아래로 향하는 화살표가 있을텐데 눌러주시고 몇가지 체크 후 동의만 하면 설치됩니다. 이제,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①  AR 이모지 카메라 : 나를 닮은 이모지를 만들거나 귀여운 캐릭터 이모지를 선택해 재미있는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②  AR 두들 : 얼굴이나 공간에 가상의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려 넣어 재미있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③  AR 이모지 스튜디오 : 마이 이모지를 편집하고 이모지 스티커를 만들 수 있습니다.
AR 이모지 스티커 : 마이 이모지의 다양한 표정과 행동을 담은 나만의 스티커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코 픽 : 다양한 스티커를 적용해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1 이모지 카메라

자 이모지 만들기 시작해볼까요? 이모지 카메라를 열고 촬영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카메라 앱 실행
② 더보기
③ AR 존
④ 사용할 앱 선택
⑤ AR 이모지 카메라 (사진 촬영시 내 얼굴이 이모지로)

 

AR 이모지 카메라를 열어서 하단의 (+) 버튼을 누르며 위 이미지처럼 3가지 옵션을 볼 수 있어요.

이 이모지 추가 : 샘플을 이용해 이모지 만들기

②  촬영하여 만들기 : 내 모습을 직접 촬영해서 이모지 만들기

사진으로 만들기 : 갤러리에서 이미 촬영된 사진으로 이모지 만들기

 

예시로 세번째 방법을 선택해 하나 만들어볼게요. 갤러리에서 얼굴인식이 가능한 사진을 선택하고,  성별을 골라주세요.  별도로 표시된게 없지만 이게 여자, 남자, 유아라는걸 대략 알 수 있어요. 

 

그러면 몇초만에 나를 닮은듯? 안 닮은 이모지가 등장하는데요. 이 다음엔 후작업으로 나한테 맞게 꾸며주면 됩니다. 이목구비 옵션이 다양하진 않지만, 옵션중 이 버튼을 누르면 세세한 부분을 조정할 수 있어요. 선택한 눈모양에서 눈꼬리 더 올리거나 내려가게 하는 등이죠.   

그리고 요즘 트렌디한 옷 스타일이 많아서 입혀보는 재미가 있더라구요.. 시계도 있는데, 이 갤럭시워치같아요. 그리고 아이템별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어요. (게임좀 해보신 분들이라면 빠르게 만드실것 같아요ㅎ) 이렇게 내가 직접 만들어도 좋은데요. 친구, 가족과 폰을 바꿔 서로의 이모지를 대신 만들어주는것도 재밌어요! 좀더 사실적으로 나오더라구요. ㅋㅋ  상대가 보는 나에 대해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된달까요? 하하

이 이모지로 사진 촬영 뿐만 아니라 촬영버튼을 꾹 누르면 녹화도 된답니다. 이렇게 만든 나만의 이모지는 움직이는 GIF 스티커로 만들어 메시지나 SNS에서 대화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두들

doodle은 낙서라는 뜻이에요. 들어가면 이렇게 카메라가 먼저 열려요. 간편측정처럼 주변을 인식할수 있게 폰을 조금 움직여야 할수도 있어요. 그리고 화면을 살펴보면 펜툴이 있는데, 이걸로 내가 촬영할 대상에 낙서를 하고, 화면을 움직여보세요. 그러면 그 공간에 맞춰 낙서가 대상에 붙어있는게 보여요.  3D공간을 인식하기에 xyz축 좌표에 맞는 화면을 보여주는거죠.  스노우 앱을 사용해보셨다면, 그런 스노우 스티커를 직접 그려서 사용하는 느낌이에요. 내가 한 낙서가 그린 그 위치를 계속 따라다니거든요. 

펜 옆에 옆에 '3D 정육면체'아이콘이 있는데 이걸 누르면 사각형 틀이 나오는데요. 거기 라이언을 맞춰 넣으면, 복제가 된답니다. 그럼 이렇게 라이언 분신술을 할 수 있어요 ㅎㅎ 


3 이모지 스튜디오

내 이모지를 만들었다면 그 다음 자주 사용하시게 될 곳은 AR 이모지 스튜디오일거에요. 상단에 3가지 카드가 보이시죠? 

동영상 만들기  / 통화배경 / 잠금화면

이름은 다르지만 사실 동영상 만들기 하나로 통화배경, 잠금화면에 둘 다 만들 수 있어서 전 이거 하만 사용해요. 그럼 동영상을 만들어 볼까요? 더 정확하게 말하면 댄스 동영상인데요. 모든이들의 어깨를 들썩이게 하죠? 

 

아래에 카테고리별 댄스 테마가 있는데요. 테마 이름이 없어서 눌러봐야 알 수 있는데요. 하나하나 눌러보세요. 모두  멋지고 유쾌한 댄스들이여서 쇼츠만큼이나 빠져들게 하는 재미가 있더라구요. 또 요즘 트렌드를 반영한 힙하고 세련된 동작들이라 움칫둠칫하며 따라해보게 되는거 있죠? 그리고 나를 닮은 이모지가 춤을 추니 대리만족도 됩니다ㅎㅎ 

이렇게 구경하다가 마음에 드는 영상이 있다면 저장을 누르세요. 그러면 이렇게 통화화면이나 잠금화면으로 설정할수 있어요. 통화화면으로 설정하면 통화연결음을 댄스동영상 음악으로 설정할 수 있구요. 잠금화면으로 설정하면 동영상 길이를 편집할 수 있어요. 

 


4. 이모지 스티커

다시 스튜디오로 나와볼까요? 아까 이모지를 생성했을 때 스티커는 자동으로 만들어졌을 거예요. 여기 스티커를 눌러보면 내 이모지의 다양한 표정과 동작으로 구성된 15개의 기본 스티거가 보일거예요. 그리고 추가로도 만들 수 있어요.  버튼을 눌러 표정과 동작을 선택해서 만들 수 있구요. 상단에 원하는 스티커 팩을 다운받으면 내 이모지를 반영한 스티커가 자동 생성돼요. 이걸 활용해 카톡 프로필을 활용하기 좋더라구요. 또는 SNS에서 사용할수도 있어요.


5. 데코픽

데코픽은 얼굴을 인식해서 촬영 화면에 스티커를 붙이거나  배경을 넣을수 있는데요. 아직까진 옵션이 다양하지 않아서 그런지 크게 재미는 없더라구요. ㅎ 이런 데코레이션 원한다면 지금은 스노우앱이 더 좋은것 같아요.


이 기능은 유튜버들 중 자신의 얼굴을 가리고 싶을때 자주 사용하더라구요.  그런데 말이죠! ar이모지의 경우 비영리적인 목적으로만 사용가능합니다. 사실상 삼성 규정에는 이렇게 기재되어 있더라구요.

그럼 참고해서 조심히 사용하세요 ㅎ

 

끝으로 제가 이 AR이모지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좋은점은 혼자 놀때는 이만한게 없습니다. 특히 이 댄스 기능이 대리만족이라는 감정으로 되게 좋았어요. 나를 닮은 어쩌면 내가 원하는 이상향의 모습을 한 캐릭터가 이런 힙한 춤을 추다니 보고 있으니 기분이 좋아지더라구요. ㅎㅎ또 이 신나는 영상으로 폰 잠금화면이나 배경화면을 만들어두니 누가봐도 내 폰같은 느낌이 팍 듭니다. 

 메타버스가 한때 화제를 모으며 이런 기술들이 많이 생겼는데요. 가상의 공간에서 나를 상징하는 아바타로 활동하는 플랫폼이 인기였죠? 또 홀로그램 기술에도 이런식으로 인물을 캐릭터화 시키는 것도 있더라구요. 몇년만 지나면 이 기술이 또 다양한 곳에 접목되며 실생활에서도 사용할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그러니 오늘 알려드린  aR이모지를 써보면서 미래 기술에 익숙해져 보는건 어떨까 합니다.

 

여담이지만  사실 AR이모지를 쓰시는 분 잘 보지는 못했는데요. 메신저보다는 카톡을 쓰는까닭이 제일 크고,  캐릭터가 실제 모습과는 조금 이질감 있는것도 있을것 같아요. 또 연락하는 사람들은 친한 사람들이기에 굳이 이런 가상의 얼굴을 덮을 필요가 없는게 아닐가 하는게 개인적 인 생각입니다. 

 

콘텐츠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려요~

관련글 더보기